바울의 정치신학

그린비 크리티컬 컬렉션 15

야콥 타우베스 지음, 조효원 옮김 | 2012-02-10 | 320쪽 | 20,000원


‘크리티컬 컬렉션’ 15번째 책. 독일의 유대인 철학자 야콥 타우베스의 사망 직전 강연을 엮은 책이다. 타우베스의 정신적 유언으로 알려진 책으로서, 이제껏 그리스도교 내부에서만 논의되었던 사도 바울의 사유를 ‘유대교적’ 맥락 속에 옮겨 놓아 바울에게 내재되어 있던 유대교적 전통을 이끌어 낸다. 또한 ‘바울의 정치신학’이라는 관점에서 칼 슈미트, 칼 바르트, 프리드리히 니체, 지그문트 프로이트, 발터 벤야민 등을 새롭게 평가한다. 이 책은 독일 지성계의 이단아로 알려진 야콥 타우베스의 저작 중 한국에서 처음 번역되는 책으로, 신학과 철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타우베스 사유를 제대로 음미할 수 있는 첫 기회이다. 이와 더불어 이 책은 ‘정치신학’, ‘메시아주의’를 둘러싸고 펼쳐진 칼 슈미트와 발터 벤야민 사유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신학의 차원을 파악하게 해줌으로써, 이들 사상가를 이해하는 데서도 새로운 조명을 비춰 주기도 한다.


저·역자 소개 ▼

저자  야콥 타우베스 Jacob Taubes
빈 태생의 유대인 철학자. 192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나 스위스 취리히에서 자랐다. 대랍비였던 아버지로부터 정통 랍비 교육을 받았으나, 곧이어 바젤 대학과 취리히 대학에서 철학과 역사를 공부했다. 1947년 취리히 대학에서 『서구종말론의 체계와 역사에 관한 연구』(Studien zur Geschichte und System der abendl?ndischen Eschatologie)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49년부터 뉴욕 유대신학교에서 종교철학 강사로 일했으며, 이때 레오 스트라우스에게서 개인적으로 사사했다. 또한 이 시기에 한나 아렌트 및 파울 틸리히와 친분을 쌓기도 했다. 게르숌 숄렘의 초청으로 1951년부터 예루살렘 히브리대학에서 종교사회학 강사로 활동했으나, 숄렘과의 갈등으로 인해 2년 뒤 미국으로 돌아왔다. 이후 록펠러 장학 재단의 도움으로 하버드 대학에서 공부하는 동시에 프린스턴 대학에서 초빙교수로서 가르쳤다. 1956년 컬럼비아 대학의 종교사 및 종교철학 정교수가 되었으며, 1966년부터 베를린 자유대학 철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해석학 연구소와 유대학 연구소를 이끌었다. 이와 더불어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 라인하르트 코젤렉, 한스 블루멘베르크 등과 함께 ‘시학과 해석학’(Poetik und Hermeneutik) 프로젝트의 동인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20세기 최고의 법학자 칼 슈미트와 특이한 편지 친구였으며, 2005년 출간된 유고 편지를 통해 오스트리아의 시인 잉게보르크 바흐만과 밀월 관계였음이 밝혀졌다. 하이델베르크 대학 신학부 학생회 연구소에서 강연을 진행하고 불과 한 달 뒤인 1987년 3월 베를린에서 숨을 거두었다. 주요 저서로 『칼 슈미트에게: 적대적 친분』(Ad Carl Schmitt: Gegenstrebige F?gung, 1987), 『바울의 정치신학』(Die politische Theologie des Paulus, 1993), 『제의에서 문화로』(Vom Kult zur Kultur, 1996) 등이 있다. 

역자 
조효원
서양인문학자, 번역가, 문학비평가. 성균관대학교 독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 대학원에서 발터 벤야민의 초기 언어 이론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독문과 박사 과정을 수료한 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유럽어문학부에서 방문학생으로 수학했다. 미국 뉴욕대학(NYU) 독문과에서 바이마르 정치신학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강대학교 유럽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부서진 이름(들): 발터 벤야민의 글상자』 『다음 책: 읽을 수 없는 시간들 사이에서』가, 옮긴 책으로 조르조 아감벤의 『유아기와 역사』 『빌라도와 예수』, 야콥 타우베스의 『바울의 정치신학』, 대니얼 헬러-로즌의 『에코랄리아스』, 칼 슈미트의 『정치신학 2』 『정치적 낭만주의』 등이 있다.
차례 ▼

서문 (알라이다 아스만) 6

강연을 시작하며 13
1. 「로마서」에 입문하게 된 자전적 계기 13
2. 유대 종교사에 있어서의 바울: 메시아적 논리 22

1부 독해: 바울과 모세, 새로운 신의 백성을 일으켜 세우다
1장 「로마서」의 수신자 38
1. 로마에 대한 선전포고로서의 복음: 「로마서」 1장 1~7절 독해 38
2. 예루살렘과 세계선교의 정당성: 「로마서」 15장 30~33절 독해 46
보유: 유대인 그리스도 신자의 운명 56
2장 노모스. 법과 정당화 : 「로마서」 8~11장 독해 60
3장 선택과 파문: 「로마서」 8장 31절~9장 5절 및 『탈무드』 b. 베라코트 32a절 독해 73
4장 프네우마. 구원사의 능가와 이 세계의 극복: 「로마서」 9~13장 독해 95

2부 결과들: 바울과 근대, 메시아적인 것의 변용
5장 이 세계 안에 있는 낯선 자들: 마르치온과 그 후계자들 132
6장 절대를 향해 결단하는 열심당원들: 칼 슈미트와 칼 바르트 147
7장 세계정치로서의 니힐리즘과 미학화된 메시아주의: 발터 벤야민과 테오도어 W. 아도르노 165
8장 『성서』 종교로부터의 탈출: 프리드리히 니체와 지그문트 프로이트 180
보론 야콥 타우베스와 칼 슈미트 사이의 역사 220
1. 들어가며 220 | 2. 1948~1978: 30년 동안 계속된 거절 223

부록
편집자 후기(알라이다 아스만, 얀 아스만, 볼프-다니엘 하르트비히) 240
편집자의 말(알라이다 아스만) 291
옮긴이 해제: 타우베스로 태어난 바울, 바울주의 294
옮긴이 후기 310
찾아보기 313
 
편집자 추천글 ▼

사도 바울의 메시아주의를 다시 읽는다!
―바울의 유대교적 면모와, 서구 사상에 미친 영향을 밝혀내는 문제작! 


이 해체 작업의 폭발력은 특히 바울에 대한 유대교의 독해와 그리스도교의 독해가 서로를 얽어맸던 곤경에서 이 양자를 구출해 냈다는 점에 있다. 타우베스는 이 강연에서 유대교와 그리스도교라는 양극의 대립으로 인해 경직화된 사유의 형식을 폭파시켜 버린다. 바울에 대한 독해 작업을 통해 타우베스는 지금까지 무시되어 왔던 측면, 즉 유대 전통 안에 있던 해방적인 측면에 집중한다. 그리스도교가 슬쩍 감춰 버렸던 바울, 그리하여 역사 속에서 유대교에 가장 위험한 무기가 되어 버린 바울, 타우베스에게는 이 바울이 지금까지 탐구되지 않은 채 버려져 있던 광활한 지대를 횡단하는 데 있어 길잡이와 같은 인물이 된다.?알라이다 아스만·얀 아스만·볼프?다니엘 하르트비히, 「편집자 후기」 중에서

아우구스티누스, 루터, 헤겔, 니체, 프로이트, 바르트, 슈미트, 벤야민……. 모두 사도 바울을 자기 사유의 핵심 대상으로 삼았던 신학자·철학자들이다. 바울은 그리스도교의 창시자로서 신학에서만 중요한 사상가가 아니라, 2000년간 서구 세계를 지배한 그리스도교의 질서를 형성한 인물로서 이 질서를 고민하고 초월하려 한 사상가들에서도 최대의 스승이자 적수였다. 하지만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반목, 신학과 철학의 분리 등으로 인해 바울 사유의 전모는 아직까지도 완전히 드러나지 못했다. 과연 사도 바울은 누구인가? 유대인이면서 사도였던 그의 메시아주의는 어떤 재료들로 형성된 것인가? 바울에 비추어 현대 사상을 읽으면 어떤 새로운 이해가 가능한가?


그린비출판사에서는 야콥 타우베스(1923~1987)의 『바울의 정치신학』(Die politische Theologie des Paulus, 1987)을 ‘크리티컬 컬렉션’ 15번째 도서로 출간하였다. 이 책은 독일 철학계의 문제적 사상가 중 한 명이었던 타우베스의 마지막 사유를 담고 있는 저작이면서, 동시에 국내에 처음 출간되는 타우베스의 저작이기도 하다. 타우베스가 사망 직전인 1987년 2월에 행한 ‘바울 강연’을 엮어 출간한 이 책은, 바울의 사유를 완전히 새로운 맥락으로 옮겨 놓음으로써 타우베스를 바울 연구의 급진적 아웃사이더로 자리매김했다. 나아가 이 책은 신학과 정치의 관계를 둘러싸고 벌어진 20세기의 논쟁을 이해하게 해주는 조명을 비춰 주고 있기도 하다.


바울은 유대인이었지만 부르심을 받아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인물이다. 개종 후 그가 보여 준 사유와 활동 덕분에 그리스도교는 세계 종교로 정착할 수 있었고, 이런 이유로 바울은 그리스도교의 아버지로 불린다. 하지만 바울의 사유에 담겨 있었던 ‘유대교적’ 면모는 아직 제대로 파악되지 못했다. 야콥 타우베스는 제도적 경직화로 인해 감춰져 있었던 바울의 유대교적 전통을 밝혀냄으로써, ‘그리스도교와 유대교의 분리’라는 뿌리 깊은 이분법을 해체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바울이 제시했던 메시아주의적 ‘삶의 형식’과 ‘믿음의 형식’을 새로운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한다.
또한 철학적·역사적으로 『성서』를 해석하는 근현대의 전통과는 정반대로, 타우베스는 『성서』를 통해 현대 사상가들의 문제설정을 파악하고자 한다. 현대 사상가들이 바울과 그리스도교가 세운 서구의 가치 체계를 어떻게 뛰어넘고자 했는지, 정치와 법, 공동체의 문제에 관한 현대의 논쟁에서 바울이 어떤 키워드로 역할하는지를 드러냄으로써, 타우베스는 현대 사상에 침투해 있는 바울의 영향사를 새로운 차원에서 보여 준다.



새로운 바울 독해: 유대인 바울의 메시아주의 이해하기

▶「로마서」와 바울의 부정적 정치신학


타우베스는 사도 바울의 「로마서」를 독해하면서 바울의 새로운 모습을 끌어내고 있다. 이에 의해 구원에 대한 바울의 믿음, 바울이 세우려 한 공동체 등이 정치적 문제가 된다. 타우베스는 바울의 「로마서」가 “정치신학이며 카이사르에 대한 정치적 선전포고”(45쪽)라는 테제를 내세운다. 당시 세계 질서는 로마 제국과 혈연 공동체로 나뉘어 있었다. 바울은 이 질서에 맞서 범이스라엘(pas Israel) 사상을 주장한다. 여기서 ‘이스라엘’이란 (유대인이라는) 혈연에 기반한 공동체가 아니라, 하느님의 질서에 따른 ‘약속’과 ‘믿음’의 공동체이다. 하느님의 옛 백성인 유대인뿐 아니라 이방인까지 모두 포괄하는 이 범이스라엘은 ‘메시아에 대한 믿음’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질서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 ‘범이스라엘’은 어떤 정치 질서를 지닌 공동체인가? 바울에게 세속의 정치 질서와 신의 질서는 완전히 분리되어야 하는 것이었고, 그에게 세속의 질서는 아무런 정당성도 가질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그는 지상의 정치 질서를 유지하는 수단인 [율]법의 폐기를 주장한다(「로마서」가 정치적 선전포고였던 것도, 로마 제국이 [율]법의 기초한 질서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메시아의 도래’와 함께 이 지상의 질서는 폐기되고, 믿음을 가진 자들은 구원받게 된다는 사상을 펼친다. 그래서 바울은 로마인들에게 저항이나 반항을 하는 대신, 눈에 띄지 않게 살아가면서 서로 사랑하라(‘이웃 사랑’의 계율)는 충고를 던진다. 그리하면 최후의 순간에 메시아가 도래할 때 구원받는다는 것이다.


타우베스가 해석하는 바울의 사유는 우리에게 낯선 것이다. 얼핏 이는 어차피 종말이 올 테니 이 세상의 문제에서 도피하라는 염세주의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바울과 타우베스는 염세주의자와는 거리가 멀었다. 오히려 그들은 애세주의(愛世主義)자였다. 이웃에 대한 사랑을 통해 이 세계를 무화(無化)하고 “지상의 질서를 틀 짓는 권력의 구조 자체를 폐기해 버리는 부정적 정치신학”을 작동시키려 했던 것이다(252쪽).

▶사도 바울: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교차점


타우베스의 바울 독해의 독특함은 바울의 ‘정치신학’을 새롭게 해석한다는 데만 있는 것만이 아니라, 바울의 사상을 ‘유대교적’ 배경 속으로 옮겨 놓고 이해하려 한다는 데도 있다. 타우베스는 바울의 메시아주의를 ‘메시아에 대한 믿음과 그에 따른 구원’, ‘욤 키푸르(Jom Kippur, 속죄일) 때 행해지는 전례’ 등 유대교적 사유 및 실천과의 관련 속에서 해석한다. 바울의 구상은 온전히 그리스도교적인 것이 아니었고, 그리스-로마적인 것은 더더욱 아니었다. 타우베스의 바울 해석이 혁신적인 것은 그동안 지속되어 왔던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인위적 분리를 폐기하고, “유대교와 그리스도교가 만나는 이 바울이라는 교차점에서 그동안 제도적 경직화로 인해 묻혀 있었고 또 역사적 발전 과정 속에서 완전히 억압되었던 믿음의 형식과 삶의 형식들에 대한 전망”을 열어 냈기 때문이다.



바울과 근대: 바울의 영향사를 새롭게 복원하기

▶20세기의 바울주의자: 발터 벤야민


타우베스에게 20세기에 태어난 바울주의자는 바로 발터 벤야민이다. 벤야민이 청년 시기에 쓴 「신학?정치적 단편」(Das theologisch-politische Fragment, 1921)과 「로마서」를 비교 독해함으로써 타우베스는 바울과 벤야민의 유사성을 밝혀낸다. 두 사람 모두 세속적인 것의 질서를 ‘니힐리즘’적으로 파악했다. 둘 모두 창조를 덧없는 것으로 이해했으며, 이 세계를 스러져 가는 것으로, 지나가는 것으로 바라보았던 것이다. 바울과 마찬가지로 청년 벤야민에게도 지상의 질서와 신의 질서는 분리되어 있는 것이었으며, 벤야민 역시 세속적인 것의 질서를 폐기하는 메시아의 도래를 확신했다.

▶바울을 둘러싼 투쟁: 칼 슈미트와 야콥 타우베스


이처럼 타우베스가 보기에 바울은 세속의 질서와 신의 질서는 분리되어야 하며, 나아가 지상에서는 정당한 질서라는 것이 아예 존재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런 타우베스에게 가장 강력한 적수였던 이가 바로 칼 슈미트다. 슈미트와 타우베스 모두 지상의 질서는 그 자체로 정당성을 지닐 수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타우베스(그리고 바울)와 달리 칼 슈미트는 신의 질서가 이 지상에서 ‘대표’될 수 있다고 생각했고, 이 생각이 그의 ‘정치신학’의 토대가 되었다. 또한 슈미트는 「로마서」 11장의 표현에 근거를 두고 ‘정치’란 적과 동지의 구분이라고 주장했지만, 타우베스에게 ‘이스라엘인들이 하느님의 적’이 된다는 「로마서」의 문구는 이스라엘인들이 결국에는 다시 하느님의 사랑을 받게 되는 변증법의 한 에피소드에 불과한 것이다. 타우베스가 보기에는 슈미트의 정치신학은 「로마서」에서의 바울의 주장을 오해한 결과물이다. 그리고 슈미트와는 달리 타우베스에게 바울은 ‘신의 새로운 백성’, 즉 새로운 공동체를 건립한 사상가다. 이 공동체는 메시아에 대한 믿음을 통해 ‘지상에서의 정치’의 차원에서 빠져나간다. ‘메시아적인 것’은 일체의 현실 정치 질서에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며, 마지막에 가서 그 질서를 대체하게 되는 것이다.

▶바울을 넘어서려는 노력: 프리드리히 니체와 지그문트 프로이트


바울과 관련해 중요한 또 다른 두 명의 사상가가 있다. 바로 프리드리히 니체와 지그문트 프로이트이다. 바울과 그리스도교의 관점에서 인간의 불평등은 심각한 죄악이다. 그런데 이 죄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해주는 것은 오직 ‘바깥에서’ 초월적으로 도래할 평등뿐이다. 다시 말하면 그리스도 안에서의 평등뿐인 것이다. 그리고 니체와 프로이트는 모두 바울과 그리스도교의 ‘초월적’ 세계관이 서구 세계의 사고 체계를 지배해 왔다는 것을 누구보다 명민하게 알아차리고 이를 전복하려 한 문제적 사상가였다. 이 두 사상가에게 공히 중요한 것은 ‘죄’의 문제였다. 하지만 두 사람은 ‘죄’를 문화적으로 구성하는 근원에 대해서는 상이한 평가를 내렸다. 니체에게 죄란 도덕과 형이상학이 육체적 현실을 억압해 생겨난 것이다. 반면 프로이트에게 죄는 사회적 질서를 정초하는 폭력적 행위를 억압함으로써 생겨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처럼 상이한 진단에도 불구하고, 니체와 프로이트는 서구의 가치 체계의 근원이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바울이 갖는 중요성을 인정했던 것이고, 거꾸로 이 두 사상가의 문제틀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바울이 현대 사상에 미친 파급력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