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현재·미래의 쟁점들을 아시아의 눈으로 바라보다
국민국가와 지역을 넘나드는 새로운 아시아의 사유!
과거·현재·미래의 쟁점들을 아시아의 눈으로 바라보다
국민국가와 지역을 넘나드는 새로운 아시아의 사유!
식민시대의 아시아에서균열하는 두 개의 시선을 읽는다!
제국 일본의 ‘이벤트’를 가로지르는 담론적 통치 전략과 그 균열
자기모순적인 일본 ‘전후’(戰後)의 기원을 추적한다!
소거되고 봉인된 식민지 ‘조선’의 기억을 통해 분석하는 전후 일본의 욕망
아이아 총서 105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 윤영도·신현준· 이정은· 조경희 지음, 신현준 엮음 | 2013-04-15 | 316쪽 | 20,000원
환영받지 못한 자, 돌아온 동포들의 위치를 묻다!
조선족, 고려인, 자이니치 ― 소외와 배제 속 ‘특별한’ 존재들의 이야기
1970~1990년대를 탈/냉전기로 규정하고,
이 시기 동아시아 문화지형의 질서재편을 분석한 책
'동아' 트라우마 식민지/제국의 경계와 탈경계의 경험들
아이아 총서 103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 유선영·차승기 엮음 | 2013-04-10 | 240쪽 | 18,000원
트라우마로 경험된 제국의 ‘동아’를 넘어서라!!
식민의 역사가 새겨 넣은 아시아 민족들의 분열적 상흔에 직면한다!
식민지 지식인들과 대중의 욕망 구조를 읽는다
한국과 타이완 학자들, 식민지의 문화 지층을 공동 탐사하다
장기 불황 시대, 가족을 구조조정하라!
―경제변동의 관점에서 본 결혼과 가족의 사회학
일본은 왜 자꾸 우측으로, 우측으로 가는가
―모토오리 노리나가에서 전쟁기 ‘국체론’까지 일본 내셔널리즘을 해부한 책
근대 일본의 ‘아시아 연대론’을 읽는다!
―동아시아 근대의 본질적 폭력성을 드러내는 사상사 연구
리저널리즘, 동아시아의 공존과 평화구축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일본의 주체형성과정을 통해 동아시아의 역사와 정치를 다시 묻는다
근대 중국사상사 약론 경학, 불학, 서학으로 본 중국인의 사유 실험
아이아 총서 002
천샤오밍·단스롄·장융이 지음, 김영진 옮김 | 2008-06-30 | 504쪽 | 27,000원
근대 중국의 사상 전통을 압축적으로 해석한다!
경학·불학·서학의 큰 흐름으로 본 근대 중국 사상사론
유럽의 근대주의와 동양의 내셔널리즘을 넘어선 다케우치 요시미의 사상.
루쉰, 다케우치 요시미, 그리고 쑨거로 이어지는 저항과 실천의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