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맹자의 논어 맹자 개념어 사전
이토 진사이 선집 4
이토 진사이 지음, 최경열 옮김 | 2017-09-25 | 208쪽 | 16,000원
『어맹자의』, 『대학정본·중용발휘』 출간으로 이토 진사이 선집 완간!! 주자학을 넘어 새로운 유학의 지평을 연 이토 진사이의 사상을 만난다!
저·역자 소개 ▼
저자 이토 진사이 伊藤仁齋
에도 시대 전기에 활약한 유학자, 고의학파(古義學派)의 창시자. 초명은 고레사다(維貞)이고 뒤에 고레에다(維禎)로 개명했으며, 보통 겐시치(源七), 겐키치(源吉), 겐스케(源佐) 등으로 불렸다. 진사이는 그의 호이며, 고학선생(古學先生)으로도 불렸다.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 교토에서 재목상(材木商) 가문의 아들로 태어나, 당시 가장 유명했던 화가 오가타 고린(尾形光琳)의 사촌 여동생과 결혼했다. 청년 시절 주자학에 몰두하였고 이십대 후반에는 가업을 포기하고 불도(佛道)에 전념했으나, 삼십대에 이르러서는 이를 비판하며 유교 고전의 새로운 읽기를 시도하였다. 1662년 사립 유학 학교인 고의당(古義堂)을 설립하여 후학을 양성하기도 한 그는 『논어고의』(論語古義), 『맹자고의』(孟子古義), 『어맹자의』(語孟字義), 『동자문』(童子問), 『중용발휘』(中庸?揮), 『고학선생문집』(古學先生文集), 『진사이일찰』(仁齊日札), 『동지회필기』(同志會筆記)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사후 그의 아들 이토 도가이(伊藤東涯)가 모두 교감해서 출판하였다.
역자 최경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한문학을 공부했습니다. 곡부서당(송양정사松陽精舍)에서 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님께 한문을 익히며 낯선 세계에 눈을 떴습니다. 선생님과의 만남은 무엇보다 인간의 감화력이 무엇인지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한림원과 민추(현 고전번역원)에서도 고전을 공부했습니다. 서양인이 동양을 공부하는 치밀함에 자극받아 영어에도 주의를 게을리하지 않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기도 했습니다. 18세기 조선 지식인들에 대한 관심을 품고 있으나 그보다 우선 넓게 공부해서 파야겠다는 생각으로 중국고대사상에 집중해, 선진(先秦)시대 저작을 두루 읽고 있습니다. 유학이 정통이나 주류로 자리 잡기 이전, 많은 담론이 쟁명(爭鳴)하는 모습이 장관이라서 공부가 흥미롭습니다.
『당시 300수』를 공역했고 일본의 유학자 이토 진사이(伊藤仁齊)의 대작인 『논어고의』(論語古義), 『맹자고의』(孟子古義), 『동자문』(童子問) 등을 잇달아 번역했습니다.
에도 시대 전기에 활약한 유학자, 고의학파(古義學派)의 창시자. 초명은 고레사다(維貞)이고 뒤에 고레에다(維禎)로 개명했으며, 보통 겐시치(源七), 겐키치(源吉), 겐스케(源佐) 등으로 불렸다. 진사이는 그의 호이며, 고학선생(古學先生)으로도 불렸다.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 교토에서 재목상(材木商) 가문의 아들로 태어나, 당시 가장 유명했던 화가 오가타 고린(尾形光琳)의 사촌 여동생과 결혼했다. 청년 시절 주자학에 몰두하였고 이십대 후반에는 가업을 포기하고 불도(佛道)에 전념했으나, 삼십대에 이르러서는 이를 비판하며 유교 고전의 새로운 읽기를 시도하였다. 1662년 사립 유학 학교인 고의당(古義堂)을 설립하여 후학을 양성하기도 한 그는 『논어고의』(論語古義), 『맹자고의』(孟子古義), 『어맹자의』(語孟字義), 『동자문』(童子問), 『중용발휘』(中庸?揮), 『고학선생문집』(古學先生文集), 『진사이일찰』(仁齊日札), 『동지회필기』(同志會筆記)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사후 그의 아들 이토 도가이(伊藤東涯)가 모두 교감해서 출판하였다.
역자 최경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한문학을 공부했습니다. 곡부서당(송양정사松陽精舍)에서 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님께 한문을 익히며 낯선 세계에 눈을 떴습니다. 선생님과의 만남은 무엇보다 인간의 감화력이 무엇인지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한림원과 민추(현 고전번역원)에서도 고전을 공부했습니다. 서양인이 동양을 공부하는 치밀함에 자극받아 영어에도 주의를 게을리하지 않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기도 했습니다. 18세기 조선 지식인들에 대한 관심을 품고 있으나 그보다 우선 넓게 공부해서 파야겠다는 생각으로 중국고대사상에 집중해, 선진(先秦)시대 저작을 두루 읽고 있습니다. 유학이 정통이나 주류로 자리 잡기 이전, 많은 담론이 쟁명(爭鳴)하는 모습이 장관이라서 공부가 흥미롭습니다.
『당시 300수』를 공역했고 일본의 유학자 이토 진사이(伊藤仁齊)의 대작인 『논어고의』(論語古義), 『맹자고의』(孟子古義), 『동자문』(童子問) 등을 잇달아 번역했습니다.
차례 ▼
서문
권상卷上
천도天道
천명天命
도道
리理
덕德
인의예지仁義禮智
심心
성性
사단지심四端之心
정情
재才
지志
의意
양지양능良知良能
권하卷下
충신忠信
충서忠恕
성誠
경敬
화평·정직和直
학學
권權
성현聖賢
군자君子·소인小人
왕도·패도王覇
귀신鬼神 (부록_ 점서占筮)
『시경』詩
『서경』書
『역』易
『춘추』春秋
총론사경總論四經
원문
옮긴이 해제_ 주자학 비판에서 담론의 새 지평으로
찾아보기
편집자 추천글 ▼
『어맹자의』, 『대학정본·중용발휘』 출간으로
이토 진사이 선집 완간!!
주자학을 넘어 새로운 유학의 지평을 연
이토 진사이의 사상을 만난다!
이토 진사이 선집 완간!!
주자학을 넘어 새로운 유학의 지평을 연
이토 진사이의 사상을 만난다!
일본의 주요 사상가 가운데 한 사람인 이토 진사이의 『어맹자의』, 『대학정본·중용발휘』가 발간됨으로써 이토 진사이 선집이 총 5권으로 완간되었다. 2013년 『동자문』을 시작으로 2016년에는 『논어고의』와 『맹자고의』가, 그리고 올해 2017년 마지막 두 권이 간행되어 만 4년 만에 진사이의 주요 저작을 모두 우리말로 볼 수 있게 되었다.
역사적 맥락과 고증에 따른 『논어』.『맹자』 개념어 사전, 『어맹자의』
『어맹자의』는 ‘논어[語]와 맹자[孟]의 개념어[字] 풀이[義]’로 볼 수 있는데 한문 문화권의 중요 전통 가운데 하나인 사전류의 연장선에 있는 책이다. 『어맹자의』와 유사한 책으로 주희(주자)의 제자 진순(陳淳)이 쓴 성리학 개념어 사전인 『북계자의』(北溪字義, 북계는 진순의 자字)가 있다. 『북계자의』는 이토 진사이가 염두에 둔 책이기도 한데 진사이는 성리학과 비판적 거리를 두고 있는 만큼 『북계자의』를 철저히 검토한 뒤 자신만의 정의를 내렸다. 진사이의 개념어 풀이는 독특하다. 사전적 정의에서 멈추지 않으며 이전에 잘못된 문제를 교정하는 데서 그치지도 않는다. 텍스트 읽기의 역사적 접근 방식을 동원해 먼저 텍스트의 문맥을 텍스트 논리의 내부에서 따져 읽는다. 주요 개념어를 추출한 뒤 개념어가 쓰인 문맥에 놓고 다양한 문맥에서 쓰인 용례를 검토한다. 다음으로 같은 계열의 책에서 이 개념어가 쓰이는 용례를 살펴 활용과 적용을 점검해 개념의 외연이 확장되고 내포가 변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거기에 덧붙여 상반되는 학파의 텍스트에 비판적으로 언급되는 부분을 따져 읽어 개념어의 변용까지 포괄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진사이의 박식이 아니라 역사적 접근을 통한 그의 열린 자세다. 광범위한 독서와 사색, 토론과 검토를 통해 텍스트의 안팎을 넘나드는 그의 개념어 서술은 역사적 맥락과 고증을 충실히 담고 있다. 진사이의 학문 정신을 흔히 실학(實學)이라고 하는데 그의 글쓰기 방식에서도 충분히 증명할 수 있다. 그의 실학정신은 관념적인 것에 반대해 실질적[實]이고, 추상적인 것에 반대해 실제적[實]이며 고답적인 것에 반대해 현실적[實]이어서 개념어 사전이라는 추상도 높은 책 안에서조차 일상의 삶과 밀착된 학문으로 담겨 있다.
이 책은 동양의 고전을 읽을 때 흔히 부딪치는, 누구에게나 익숙하지만 설명하기는 쉽지 않은 개념어들, 예컨대 천(天), 명(命), 특히 도(道)에 대해 다양한 함의와 여러 맥락을 간결하게 설명해 준다. 마지막에 붙인 유가의 경전 오경(五經)에 대한 진사이의 총괄 요약은 저술 순서상 『어맹자의』 뒤에 오는 『동자문』을 예비하는 글로 읽을 수 있어 진사이 학문의 흐름을 감지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