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철학

이진경, 최유미 지음 | 2024-07-02 | 416쪽 | 24,500원


지구라는 주어를 통해 인간을, 나아가 인간의 경제와 정치를 다룬다. 그리고 오이코스와 자연의 정치, 화폐에 포섭된 허무주의 경제학과 대비되는 오이코노믹스, 인간이라는 범주를 따로 가정하지 않은 정치인 오이코폴리틱스를 구성하려 한다.

동시에 현행의 기후위기와 멸종의 상응성을 특이점 개념을 통해 포착하고, 도래한 멸종을 ‘감히’ 종말이란 개념으로 포착하려 한다. 이때 종말이란 종교적인 구원을 위해 봉사하는 참혹한 배경이 아니라 모든 답이 사라지고 물음만 남는 어두운 심연이다. 유물론자에게 종말이란 그런 심연을 있는 그대로 수긍하는 것이다. 거기서 우리는 죽음을 사유하는 법, 공포 속에서 밀쳐 내는 게 아니라 긍정의 시선으로 사유하는 길을 찾자고 제안할 것이다.

죽음의 이중 긍정. 그것은 죽음이나 종말, 절망이란 말만 나오면 인간들이 보여 주는 히스테리를 넘어서, 답 없이 도래한 그리고 도래할 파국적 상황을 긍정의 시선으로 사유하는 길, 그 파국을 살아 내는 길을 찾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저·역자 소개 ▼

저자 이진경 
지식공동체 수유너머 파랑 연구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 『철학과 굴뚝청소부』를 시작으로, 자본주의와 근대성에 대한 이중의 혁명을 꿈꾸며 쓴 책들이 『맑스주의와 근대성』,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수학의 몽상』, 『철학의 모험』,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필로시네마, 혹은 탈주의 철학에 대한 10편의 영화』 등이다. 사회주의 붕괴 이후 새로운 혁명의 꿈속에서 니체, 마르크스, 푸코, 들뢰즈·가타리 등과 함께 사유하며 『노마디즘』, 『자본을 넘어선 자본』, 『미—래의 맑스주의』, 『외부, 사유의 정치학』, 『역사의 공간』, 『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 『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 등을 썼다. 『코뮨주의』,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삶을 위한 철학수업』, 『파격의 고전』 등을 쓰면서 지금 여기에서의 삶을 바닥없는 심연 속으로 끌고 들어가고 있다. 


저자 최유미 
KAIST 화학과에서 이론물리화학 박사학위를 하고, IT회사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작업에 참여했다. 지금은 지식공동체 수유너머 파랑에서 철학과 과학학, 페미니즘을 공부하고 강의한다. 지은 책으로는 『해러웨이, 공-산의 사유』, 『감응의 유물론과 예술』(공저)이 있으며 해러웨이의 『트러블과 함께하기』, 『종과 종이 만날 때』를 우리말로 옮겼다. 
차례 ▼

서문을 겸한 서론
지구의 철학, 지구에 의한 철학을 위하여 ● 5

제1장 ‘인류세’와 지구의 철학
—두 가지 속임수와 철학적 배신
1. ‘인류세’ 혹은 인간의 그늘 ● 21
2. 노모스의 대지에서 자본의 노모스로 ● 26
3. 지구, 자연의 외부 ● 33
4. 기관 없는 신체, 혹은 어머니와 사신 ● 45
5. 인간의 외부, 외부의 사유 ● 52
6. 인류세와 자본세, 혹은 속임수와 배신에 대하여 ● 60

제2장 폴리스의 경제학, 오이코스의 정치학
—가장 없는 ‘가정’과 ‘정치’ 이전의 정치
1. 기원의 향수와 그리스 ● 73
2. ‘자연’의 정치학과 자연-권 ● 81
3. ‘폴리스’ 이전의 정치와 ‘가장’의 첫째 문턱 ● 90
4. 경제 이전의 오이코스와 잉여의 경제 ● 100
5. 폴리스의 경제화와 오이코스의 정치화 ● 112

제3장 허무주의 경제와 오이코노믹스
—경제학에서 벗어나는 길은 없는가?
1. 오이코스와 화폐, 혹은 허무주의 경제 ● 131
2. 화폐가 오이코스를 장악할 때 ● 138
3. 경제학과 생태학: 오이코스의 사생아들 ● 143
4. 경제학의 공리들 ● 151
5. 이코노믹스의 데코노미와 오이코노믹스 ● 161
6. 경제학적 식민주의를 거슬러 ● 173

제4장 오이코폴리틱스
—인간과 인간도 아닌 것들 간의 치안과 정치에 대하여
1. 기후 격변과 비인간의 정치 ● 183
2. 폴리스의 정치에서 오이코스의 정치로 ● 187
3. 로고스의 정치와 포네의 정치 ● 194
4. 인간의 정치에서 비인간의 정치로  ● 200
4.1 포식의 정치 ● 205
4.2 증여의 정치 ● 210
4.3 회복의 정치와 증식의 치안 ● 213
5. 네크로폴리스와 조에폴리틱스 ● 223

제5장 오이코페미니즘 혹은 마녀들의 정치학
1. 오이코스와 가부장 ● 243
2. 국가와 가부장의 동맹 ● 254
3. 혈족의 치안과 마녀의 정치 ● 260
4. 네크로폴리스, 마녀재판 ● 269
5. 오이코페미니즘, 혹은 대지-되기 ● 288

제6장 기후 특이점과 멸종의 여백
—출구 특이점과 파국 특이점 사이에서
1. 기술 특이점? 기후 특이점! ● 303
2. 기술과 시장의 이인무 ● 312
3. 세 개의 기후 특이점 ● 322
4. 기술주의의 기계-신과 악마-기계 ● 331
5. 필경 도래할 특이점 ● 346
6. 멸종, 혹은 장기지속적 종말 ● 353
7. 살의 없는 대량 살상과 멸종의 특이점들 ● 360
8. 멸종의 여백에서 ● 365

제7장 유물론적 종말론과 미토콘드리아의 철학
—종말의 이중 긍정을 위하여
1. 구멍은 있어도 구원은 없는 종말 ● 375
2. 유전자의 주체철학과 미시적 혈통주의 ● 381
3. 미토콘드리아의 철학 ● 389
4. 기후 원리주의와 도덕주의 ● 396
5. 출구 없는 종말을 위한 유머레스크 ● 403

참고문헌 ● 411

편집자 추천글 ▼

지구에 대한 철학이 아니라
지구에 의한 철학을 해야 할 때!


도래한 기후위기 앞에서 지구가 묻는다
인간은 이 위기를 과연 어떻게 살아 내려는가?

『지구의 철학』은 지구를 대상으로 하는 철학이 아니라 지구를 주어로 하는 철학을 말한다. 그러나 기후위기로 요약되는 지구적 상황에서 우리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지구의 철학』은 인간을 주어로 하는 철학을 요청하고 있기도 하다. 이렇듯 두 개의 다른 주체를 주어로 하는 이 철학은 지구에 의한 사유와 지구에 의해 인간 삶을 사유하는 방식으로 가동된다. 그러므로 ‘지구의 철학’은 즉 지구에 의한 철학이다.
하지만 『지구의 철학』은 기후위기를 설명하는 책은 아니다. 그렇다고 긴급한 위기에 대한 행동을 촉구하지도 않는다. 그런 책은 이미 충분하다. 진정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은 사람들이 기후위기가 불러올 문제를 모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우리 인간은 그 답을, 해결책을 모르지 않는다. 다시 말하겠다. 우리는 기후위기와 관련한 우리의 현재 상황이 어떤지,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그에 대한 답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는 그것을 해결할 기미를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국제기상기구의 진단대로 위기는 코앞에 닥쳐왔으나 그러한 급박한 경고조차 소용이 없다.
머지않아 티핑 포인트라고 부르는 ‘기후 특이점’이 도래할 것이고, 이른바 ‘멸종’이나 ‘종말’ 같은 낱말로 서술되는 상황이 닥쳐올 것이다. 그렇기에 지금 그런 상황을 어떻게 연기하거나 저지할 수 있을까 하고 묻는 것은 어쩌면 무의미하거나 무력해 보인다.
사태가 이미 이러하다면, 위기 상황이 도래했을 때 던져야 할 중요한 물음은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위기의 지구를 어떻게 살아 내야 하는지일 것이다. 이제는 근거 없는 희망으로 계속 밀쳐 냈던 물음을 던져야만 할 때다. 이 책은 그런 물음을 던지며 그간 미루어 두었던 문제를 함께 사고해 보려 한다. 적어도 그런 사고의 촉발이 되고자 한다.


지금의 기후위기는 비인간들의 항의이자 저항이다!
‘인간’이라는 덫에서 벗어나라 

지구에 의한 사유를 가동시키려는 물음은 사유의 장을 바꾸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인간의 삶에 대한 근심 못지않게 인간 아닌 것들, 그리고 인간이 못 되었기에 죽더라도 숫자로 세어지지 않고, 사라져도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것들에 대해 새로이 사유해야 한다. 그런 비인간들과 인간들의 관계를 인간 중심의 시야에서 벗어나 사유해야 한다. 인간만큼이나 그들을 주어로 사유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우리는 지금의 기후위기를 그들 비인간의 행위나 인간을 향해 외치는 항의, 나아가 정치적 저항으로 볼 것이며, 사물이나 자연이라 불리는 것과 인간의 관계를 정치, 즉 ‘자연의 정치’로 불러들이고자 한다. 그리고 그들과 새로운 동맹을 사유할 사고의 단서들을 찾고 제안하려 한다. 인간을 등지고 배신하려는 이런 사유까지 나아가지 않는다면 ‘포스트휴먼’ 담론은 어쩌면 아직도 인간이란 덫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아야 할 것이다. ‘나’라는 말을 유기체나 인격을 실체화하는 일인칭 단수가 아니라 수많은 미생물의 복합체로, 일인칭 복수로 바꾸어 사유해야 한다. 나 자신이기도 한 미생물의 관점에 섬으로써 우리는 ‘인간’이란 감옥에서 벗어날 수 있고, ‘나’의 삶과 운명을 사유할 수 있다.


폴리스 이전의 ‘오이코스’로 돌아가라
훼손의 권리가 아닌 돌봄의 의무로서의 정치를 위해  


생존과 필연의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정치, ‘폴리스’라는 말을 기원으로 삼는 정치적 사고를 넘어서 인간 아닌 것과 인간의 정치를 사고하려면, 우리는 경제학과 생태학의 어원이 되었던 생존의 장(오이코스)과 정치(폴리스)의 분리를 넘어서서 정치와 생존을 동시에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오이코스야말로 인간을 특권화하는 정치를 넘어 자연의 정치가 가동되는 정치의 장이다. 생존의 장에서 발생하는 이 자연의 정치는 그리스를 넘어, 그 이전의 기원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것을 요구한다. 즉 인류학자들의 ‘원시사회’와 비인간과 인간의 자연학적 ‘원시사회’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는 말이다. ‘인디언’ 사회는 폴리스 이전의 정치야말로 진정한 정치, 민주주의라는 말에 값하는 정치였음을 보여 준다. 역으로 ‘먹이사슬’이라 불리는 먹고 먹히는 장이 증여와 포식의 정치로 포착되고, 증식과 회복이라는 상반되는 힘들이 충돌하는 장으로 포착될 때, 자연의 정치는 단지 은유가 아닌 현실로 드러날 것이다.
반면 가장이라는 자격을 가진 자들, 오이코스를 소유하고 지배하는 자들만의 폴리스라는 그리스적 정치는 자연적 정치의 장에 어떤 치명적 문턱을 도입한다. ‘가장’이라는 관념이 세금과 부역을 책임지는 대가로 자신의 가족을 ‘소유물’로 삼는 지위를 얻는 거래가 그 문턱에서 발생한다. 더불어 소유라는 관념에 함축된 ‘돌봄’의 의무라는 ‘원시적’ 관념을, ‘훼손’의 권리라는 그리스-로마의 문명화된 관념이 대체하게 된 과정도 보아야 한다. 오이코스와 분리된 폴리스란 단지 인간만의 영역으로 정치가 제한된 것뿐 아니라 이러한 치명적 변환의 문턱들을 거치며 만들어진 것이다. 즉 그것은 인간 아닌 것과 인간과의 관계는 물론 인간 사이의 관계조차 충분히 다룰 수 없는 것이다.
오이코스와 분리된 정치 개념을 넘어서서 정치는 물론 오이코스, 생존의 개념 자체까지도 다시 사유하지 않는 한 정치도, 생존도, 비인간의 삶도, 인간의 삶도 제대로 다룰 수 없다. 목소리 아닌 소리, 로고스 없는 포네를 정치적 장으로 끌어들이는 것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인간 없는 정치뿐 아니라 인간 없는 치안, 인간 없는 권력의 문제를 다룰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경제학에 식민화된 주류 생태학뿐 아니라, 포괄적 생태학도 생명의 문제를 제대로 다루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대지는 생명체 간 동맹의 장이었다!
파국을 살아 내기 위한 죽음에 대한 이중 긍정


이 책은 지구라는 주어를 통해 인간을, 나아가 인간의 경제와 정치를 다룬다. 그리고 오이코스와 자연의 정치, 화폐에 포섭된 허무주의 경제학과 대비되는 오이코노믹스, 인간이라는 범주를 따로 가정하지 않은 정치인 오이코폴리틱스를 구성하려 한다. 대지라고 불리는 투쟁의 장은 생명체 간 동맹의 장이었다. 이 경우 폴리스의 지배 아래 들어간 오이코스조차 여성들에 의해 주도되는 동맹의 장이었음이 드러난다. 오이코페미니즘은 소유물이 된 인간, 인간이 되지 못한 인간, 그리고 인간 아닌 것들과 동맹하는 전략이다.
동시에 현행의 기후위기와 멸종의 상응성을 특이점 개념을 통해 포착하고, 도래한 멸종을 ‘감히’ 종말이란 개념으로 포착하려 한다. 이때 종말이란 종교적인 구원을 위해 봉사하는 참혹한 배경이 아니라 모든 답이 사라지고 물음만 남는 어두운 심연이다. 유물론자에게 종말이란 그런 심연을 있는 그대로 수긍하는 것이다. 거기서 우리는 죽음을 사유하는 법, 공포 속에서 밀쳐 내는 게 아니라 긍정의 시선으로 사유하는 길을 찾자고 제안할 것이다. 죽음의 이중 긍정. 그것은 죽음이나 종말, 절망이란 말만 나오면 인간들이 보여 주는 히스테리를 넘어서, 답 없이 도래한 그리고 도래할 파국적 상황을 긍정의 시선으로 사유하는 길, 그 파국을 살아 내는 길을 찾는 하나의 방법이 되리라.



도래할 위기는 지금까지의 삶을
어떻게든 바꿀 것이니  


『지구의 철학』은 기후위기에 관심을 가진 이들, 기후위기를 진심으로 걱정하고 저지하러 나선 이들에게 기후위기를 사유하는 또 하나의 방법을 제안할 것이다. 또한 기후위기에 대응하려는 사유와 행동을 가로막는 결정적 장벽들에 맞선 우회로를 찾는 하나의 제안이 될 것이다.
그리고 적극적 관심이나 의지, 행동과는 거리가 있지만 도래할 기후위기 시대를 어떻게 살아야 할까를 생각하려는 이라면 꼭 생각해 봐야 할 것들을 얘기하고 있기도 하다. 도래할 위기는 지금까지의 삶의 방식을 어떻게든 바꿀 것을 요구할 터인데, 그저 에너지를 절약하며 살면 되겠지 하며 그 이상의 것을 생각하기를 그치는 시대에 일상의 소박한 삶을 지속하려면, 그리고 그나마 좋은 삶을 지속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를 고민하게 할 자원이 되리라.
동시에 이 책은 정치와 경제, 자연과 생태, 인간과 비인간, 가부장제와 페미니즘 등 기후위기와 독립적인 주제에 대한 독자적인 주장들을 제안하고 있으며, 문명의 역사에 대한 기존의 서구적 관점이나 그리스주의적 사고에 대한 근본적 비판도 담고 있다. 이는 최근의 인류학 연구가 갖는 비판적 함축을 밀고 가는 데 유용한 자원이 되어줄 것이다.
이론이나 철학, 사상사 등에 관심을 가진 이들에게도 이 책은 유용한 사유 자원이 될 것이다.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자크 랑시에르, 도나 해러웨이, 애너 칭, 데이비드 그레이버·데이비드 웬그로우, 제임스 스콧, 카를 마르크스, 미셸 아글리에타, 마셜 살린즈, 피에르 클라스트르, 한나 아렌트, 실비아 페데리치, 린 마굴리스, 제임스 러브록, 리차드 도킨스, 티머시 모턴, 안드레아스 말름 등 다양한 이론가들을 하나의 연결망으로 엮어, 이들의 사유가 수렴하는 지점이나 분기하는 지점, 충돌하거나 합류하는 지점들에 그려지는 하나의 지도는 그러한 관심이 길을 찾는 데 유용한 참조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