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 

이진경 지음 | 2020-06-25 | 416쪽 | 18,000원


엑스북스 '니체의 눈으로 읽는 니체' 시리즈 두 번째 책. 철학자 이진경이 인문학 연구공동체 '수유너머 104'에서 진행한 <도덕의 계보> 강의를 엮은 책이다. 전작이 '사랑할 만한 삶'에 관한 것이었다면, 이 책 <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는 <도덕의 계보>가 선악의 도덕으로 인해 삶에 대한 증오와 가책을 삶에 대한 사랑이라고 오인하게 된 세상에서, 삶의 적대자를 가려내고 좋은 삶의 친구를 얻기 위해 읽어야 할 책임을 밝힌다.

니체의 <도덕의 계보>를 다시 읽으며 저자는 니체의 난해한 문체로부터 결국 삶에 대한 사랑이란 곧 내 삶의 주권적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주제의식에서 비롯된다는 것과, ‘그들’이 아닌 ‘내’가 부여한 가치를 사랑하라는 메시지를 친절히 끌어내고 있다. 


저·역자 소개 ▼

저자 이진경
지식공동체 수유너머 파랑 연구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 『철학과 굴뚝청소부』를 시작으로, 자본주의와 근대성에 대한 이중의 혁명을 꿈꾸며 쓴 책들이 『맑스주의와 근대성』,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수학의 몽상』, 『철학의 모험』,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필로시네마, 혹은 탈주의 철학에 대한 10편의 영화』 등이다. 사회주의 붕괴 이후 새로운 혁명의 꿈속에서 니체, 마르크스, 푸코, 들뢰즈·가타리 등과 함께 사유하며 『노마디즘』, 『자본을 넘어선 자본』, 『미—래의 맑스주의』, 『외부, 사유의 정치학』, 『역사의 공간』, 『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 『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 등을 썼다. 『코뮨주의』,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삶을 위한 철학수업』, 『파격의 고전』 등을 쓰면서 지금 여기에서의 삶을 바닥없는 심연 속으로 끌고 들어가고 있다. 
차례 ▼

들어가며 7

프롤로그_내재적 비판, 혹은 니체의 눈으로 니체 읽기 13
1. 다양한 해석과 엄밀한 해석 13
2. 내재적 비판 22
3. 니체의 책 또한 니체의 눈으로! 29

제1장 계보학이란 무엇인가? 33
1. 비판으로서의 계보학 34
2. 두 가지 계보학 40

제2장 힘에의 의지 47
1. 내 안에 존재하는 이 많은 영혼들! 43
2. 의지들의 의지, 의지들에 대한 의지 59
3. 무엇이 힘들을 종합하는가 63
4. ‘힘의 의지’와 ‘힘에의 의지’ 73
5. 능동과 반동, 혹은 무구함이란 무엇인가 81
6. 긍정과 부정: ‘한다더라’ 삶에 대하여 86
7. 두 번의 긍정,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 자에게 필요한 것 95

제3장 강자의 도덕과 약자의 도덕 105

1. 연애는 우정을 잠식한다 106
2. 니체를, 니체 독서를 교란시키는 것 111
3. ‘선한 것’과 ‘좋은 것’은 어떻게 다른가? 118
4. 노예의 도덕과 주인의 도덕 123
5. ‘이익’의 도덕과 ‘자긍심’의 도덕 133

제4장 도덕의 생리학 149
1. ‘귀족의 도덕’과 노예 심성 150
2. 어원학과 문법의 환상 156
3. 생명의 자연학, 도덕의 생리학 166
4. 생명의 무구성과 힘에의 의지 177
5. 기쁨의 윤리학과 웃음 185
6. 공리주의와 천민의 도덕 190

제5장 인간은 어떻게 약속할 수 있는 동물이 되었나? 195
1. 약속할 수 있는 동물 197
2. 망각의 무구성 204
3. 반동적 기억 211
4. 고귀한 눈과 천한 눈 216
5. 잔혹, 기억의 테크닉 223

제6장 주권적 개인과 공동체의 정의 227
1. 주권적 개인 228
2. ‘자유로운 인간’의 징표들 238
3. 인간은 어떻게 자신의 가책에서 쾌감을 얻게 되었나? 244
4. 공동체와 정의 254
5. 가책의 도덕에서 위대한 건강으로 268

제7장 힘에의 의지와 금욕주의 273
1. 금욕과 금욕주의는 전혀 다르다! 274
2. ‘의욕하지 않음’이 아니라 ‘무를 의욕함’이라 함은? 281
3. 철학자에겐 왜 금욕주의적 이상이 필수적인가? 284
4. 철학과 금욕주의의 연대! 295
5. 예술가와 금욕주의 303

제8장 금욕주의의 계보학 317
1. 삶에 반하는 삶이 어떻게 삶으로부터 나오나? 318
2. 약자들로부터 강자들을 보호해야 한다! 326
3. “누가 그랬어?”의 주체 철학 339
4. 고통 없는 삶이 어디 있으랴! 351
5. 고통의 생리학과 혁명의 정치학 359
6. 고통의 테크놀로지 367
7. 최후의 금욕주의 384
8. 진리로부터의 구원 392

부록 혹은 에필로그_니체주의자에게 공동체는 불가능한가? 401
1. 「디 벨레」, 액체적 공동체의 힘 402
2. 니체주의적 공동체는 가능한가? 406
3. 강자들의 공동체, 혹은 넘어섬의 공동체 411  

편집자 추천글 ▼

『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
이진경, 니체적 시선으로 『도덕의 계보』를 다시 읽다
자신에 대한 가책과 증오로부터 삶의 긍정을 되찾기!

“삶을 오도하는 것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지배적인 역할을 했던 것은 바로 ‘선악’의 개념으로 삶에 대해 ‘이래야 한다, 저래선 안 된다’며 직접 가르치고자 했던 도덕이었습니다. 덕분에 우리는 ‘한다더라’(They say)의 삶을 살게 됩니다.” - 「서문」 중에서

삶을 사랑한다고 믿지만,
사실은 그게 아닌 이들에게
니체에게 있어 철학은 말 그대로 ‘지혜(sophia)에 대한 사랑(philo)’이다. 이때 지혜는 곧 ‘좋은’ 삶에 대한 지혜이고, 때문에 니체의 철학은 ‘삶을 사랑하라’로 요약될 수 있다. 여기서 철학자 이진경은 되묻는다. “도대체 자기 삶을 사랑하지 않으려고 하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따지고 보면 우리 모두는 자기에게 좋은 것을 추구하고, 자기 좋으라고 말하고, 행동하고, 살고 싶어 한다. 때문에 니체의 저 말은 굳이 거창하게 할 필요가 없는 말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자연스레 떠오르기 마련이다. 이에 대해 이진경은 덧붙인다. “니체의 저 말은 삶을 사랑한다고 믿지만 사실은 그게 아닌 이들을 겨냥한 것입니다.”
시대를 넘어 우리에게 옮고 그름을 가르치고자 한 ‘선악’이라는 개념은, ‘이래야 한다, 저래선 안 된다’를 내포하는 일종의 법칙으로 기능한다. 때문에 인간에게 무척이나 극단적이고도 지배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는데, 오랜 세월 이러한 잣대에 길들여진 우리는 자연스레 ‘한다더라’의 삶을 살게 된다. ‘그들’이 가르치고 ‘그들’을 주어로 하는 삶이기에, 우리는 끊임없이 나 아닌 자들의 눈과 입을 ‘곁눈질’하며 살게 된다. 이진경은 이러한 태도가 ‘선’은 기본값인 채 ‘악’만 처벌의 대상이 되어 버린 세상에서, ‘악만 행하지 않으면 그래도 괜찮은 삶이다’라는 소극적 내면과 결합된다고 말한다. 그리고 결국 생명의 본능을 죄악시하고 스스로를 향한 가책과 금욕에서 쾌감까지 느끼고 마는 인간을 낳게 된다고 덧붙인다. “항상 곁눈질하며, 항상 불안에 쫓기는 안심”이라는 표현과 함께. 따라서 이진경은 『도덕의 계보』가 쓰인 이유를 두고 선악의 도덕을 ‘도덕의 생리학’으로 바꿔, 선악이 아닌 좋음/나쁨을 준거로 삶의 긍정을 되찾길 바라는 마음이라 밝히고 있다.

니체의 망치를 들고
깨부수며 읽는 『도덕의 계보』
니체가 선악의 개념을 깨부수며 제안하는 개념인 ‘도덕의 생리학’이란, ‘맹목적’이라고 욕을 먹던 생에의 의지에 대한 긍정이다. 생명체가 생을 지속하려는 ‘생리학적’ 본성을 긍정하자는 것이다. 따라서 첫째 강의가 ‘필로비오스’(philobios)라는 말로 다시 쓰기도 했던 것, 즉 ‘삶에 대한 사랑’이라는 가장 근본적인 문제설정을 중심 무대로 하고 있다면, 둘째 강의인 이 책은 ‘힘에의 의지’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삼아 그 무대에서 도덕의 생리학이 연출되는 하나의 비판적 드라마라 할 수 있다.
『도덕의 계보』는 니체의 글 중에서도 유일하게 논문 형식으로 명료하게 쓰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읽기가 쉽지 않다. 글 안에서 니체 자신이 방향을 잃기도 하고, 너무 빨리 진행되는 사유와 과속의 문체, 그리고 19세기 가지고 있었던 지식과 사고방식의 한계가 니체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약화시키는 탓이다. 심지어 읽는 이로 하여금 오히려 니체에 대해 ‘편협한 사람’이라는 인식을 갖게 만들기도 한다. 때문에 이진경은 이러한 장애물을 걷어내기 위해 니체의 텍스트마저 니체의 망치를 들고 읽는 비판적인 독해, 엄밀한 독해를 제안한다. 이는 니체를 내치는 것이 아니라, 니체를 좀 더 우리 삶으로 끌어당기고자 함이다. 저자가 제시하는 진중하고도 때로는 유쾌한 문장 및 해석, 그리고 우리가 사는 환경에서 비롯된 다양한 예시로 인해, 이 책을 읽으며 우리는 한 가지 생각을 떠올리게 된다.
“망치를 든 철학자, 니체가 바라는 독해란 바로 이런 게 아닐까”

끊임없이 곁눈질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것
긍정한 것을 긍정하라!
이진경은 니체가 부정의 부정을 긍정이라고 간주하는 것을 통렬하게 비판했음을 예시로 들어, 끊임없이 곁눈질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긍정의 긍정’, 즉 두 번의 긍정이라고 말한다. 현실적으로 생각해 보면, 부정의 부정은 긍정이 아니라, 그저 부정적인 것, 싫은 것을 ‘하지 않을 뿐’이다. 이는 ‘긍정’이라 부를 것도 없고, 나아가 나의 더 나은 고양과는 오히려 반대편에 있다고 봐야 한다. 반면 두 번의 긍정이란 자신이 긍정한 결과 또한 그대로 긍정한다는 것이다. 이진경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가령 공부하는 게 좋아서, 돈 버는 것도 접고 공부에 매진했으나 공부로 명성을 얻지 못했다거나 취직도 하지 못했다고 후회한다면, 공부가 정말 좋았던 건지 실은 명성이나 취직이 좋았던 건지 생각해 보아야겠지요. 물론 극단적으로 대립되는 상황을 상정하는 게 그리 적절치 않을 수 있으나, 공부가 좋았어도 취직이나 명성 때문에 번뇌와 후회를 면치 못했다면, 공부가 좋았던 것 이상으로 명성이나 취직이 중요했던 것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요?”

이어서 무엇인가 좋아서 한다면, 진정 자긍심을 갖고 매진할 수 있다면 결과가 그렇게 보잘것없을 가능성은 적다고 역설한다. 남들이 뭐라 해도, 곁눈질하지 않으며 “그래도 나는 이게 좋아. 이 속에 깃든 삶을 나는 사랑하거든” 하고 결과마저 사랑하는 사람을 불행하게 만드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이러한 불가능이 그로 하여금 더욱 가능의 삶으로, 긍정의 삶으로 이끌기 때문이다. 전작 『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의 제목에서도 묻고 있지만, 이런 게 바로 사랑할 만한 삶을 사는 법이 아닐까. 사실 두 번의 긍정이라는 게 생각보다 그리 쉽지는 않지만, 그래도 그 삶을 내가 먼저 살고자 할 때, 그 삶을 계속 유지하게 해줄 사랑할 만한 친구와 동료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불안한 안심에서 자긍의 기쁨으로
결국 이진경이 니체의 입을 빌려 (혹은 니체가 이진경의 입을 빌려)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자신의 가치척도’를 가짐과 동시에 그걸 지킬 수 있는 자신을 신뢰하는 자로 탈바꿈하라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스스로 되묻게 될 것이다. 나는 그저 하지 않을 수 없기에 하고 있는 것일까? 나는 책임을 지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책임감에 시달리는 것일까? 내 안에 있는 것은 남들의 시선이나 평가에 흔들리지 않는 능동적 자긍심이 아니라, 남들의 시선이나 평가에 흔들리는 자신을 감추기 위한 자존심이 아닐까? 이런 물음으로 스스로를 채울 때, 니체는 아마도 ‘선악의 저편’에서 우릴 향해 미소를 지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