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어 리더

임유진 지음 | 2018-08-10 | 224쪽 | 12,000원


10년 넘게 책을 편집하고, 3년 넘게 글쓰기 강의를 만들어 온 한 편집자의 기록. 끝내 사람을 바꾸어 놓는 독서의 경험 이후, 그렇게 자신이 바뀌었으므로 다른 사람들 또한 바뀌지 않겠느냐 하는 마음으로 출판사에서 책을 만들고, 또 그와 같은 마음으로 책까지 쓰게 되었다. 이것은, 책뿐 아니라 세상까지 읽기를 원하는 독자, 더불어 자신까지도 읽고 또 이해하고 싶은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다. 


저·역자 소개 ▼

저자 임유진
경희대 영어영문학과 졸업 후 15년 동안 출판사에서 책을 만들었고, 이후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석사과정에서 미국문학을 공부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디어리더』, 옮긴 책으로는 『시체를 부위별로 팝니다』, 『1000가지 감정』, 『왜 소중할까요』 시리즈, 『바위에 가로막힌 오또』 등이 있다.  
차례 ▼


들어가며
마지막 자연수는 없다
어셔가는 몰락하고 노인은 바다에 간다
그것은 재능이 아니다
과연 프로로소이다
우린 이미 카프카였다
무언가를 좋아한다는 건 말이지…
작가는 속삭인다, 바로 “너”라고
어떤 대화의 발명
뭘 해도 다 괜찮다
너를 믿는다는 말
변심에 대한 변명
이제 더 이상 서로에게 신경 같은 거 안 쓰는 거야?
병원에서 걸려온 그 전화는
글을 써보지 그래
끝 다음엔 바로 시작
소녀가 울 때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는 말에 대하여
이런 느낌 처음인데, 이거 병인가?
풍선은 거울 

편집자 추천글 ▼

이것은 책에 대한 책이다
그러니까 이것은, 인간의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책을 말할 때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들

출판계의 화두는 다소 천천히 바뀐다. 종이책의 위기의식에서 시작된 다른 미디어로의 확장은 이내 “역시 종이책의 물성이 최고지”로 돌아왔고, 책의 발견성과 큐레이션을 입모아 이야기하다가 또다시 종이책의 물성으로 돌아오는 듯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책표지’로 돌아왔다고나 할까. 리커버 특별판, 한정판… 등이 독자의 눈을 사로잡는다. 손에 만져지는 책만의 특성을 이야기할 때 우리가 또 빼놓지 않는 것은 ‘정성’과 ‘노고’ 같은 부분. 이럴 때 우리가 그리는 편집자의 모습은 책 속에, 원고 속에 끝도 없이 파고들어가는 사람이다. 이런 편집자의 모습은 낭만적이긴 하나 정작 “우리는 책을 왜 읽는가”에 대한 고민을 잊게 만든다. 편집자가 정성을 들여 만든 좋은 책이니까, 출판사가 심혈을 기울인 책이니까, 종이책은 자고로 우리의 마음의 양식이니까 읽어야 한다는 공식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우리 모두 알고 있다. 우리가 정작 찾고, 읽는 책들은 그런 책들이 아님을. 책은 좋은 거니까 읽으라는 말은 이제 독자의 귓등을 스치지도 못한다. 하나마나한 말이다.
하지만 출판계의 걱정과는 달리 책에 대한 관심과 내가 그 책의 저자가 되고 싶다는 사람들의 욕구는 전에 없이 높아졌다. ‘내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다’,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다’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욕구가 기술과 만나 누구라도 저자가 될 수 있는 출판 민주화의 기반이 마련된 것. 어떤 의미에서 출판은 지금이 바로 전성시대다.
독립출판, 독립잡지가 점점 많아지고, 후원을 받아 자신이 만들고 싶었던 책을 만든다. 절판된 책은 SNS로 사람을 모아 출판사에 인쇄를 요청하고, 내가 보고 싶은 책을 아무도 출간을 해주지 않아서 자기가 회사를 차리고 번역까지 한다. 책에 대한 문턱은 낮아졌고, 사람들은 이제 책의 문을, 출간의 문을 한없이 가볍게 뛰어넘는다. 현재의 책, 미래의 책은 이런 것이다. 책 뒤에서 보이지 않는 사람들의 정성을 소구하기보다는 ‘여러분, 우리 함께 이 언어의 세계를 누벼봅시다’ 하는. 언어를 쓰는 인간이기에 가능한 특별한 세상을 만나 보자는 독려. 『디어 리더』는 그렇게 언어의 세계, 책의 세계로 들어왔을 때 보이는 또 다른 지평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10년 넘게 책을 편집하고, 3년 넘게 글쓰기 강의를 만들어 온 한 편집자의 기록. 말하기보다 글쓰기가 편해서 글을 쓰게 되었다는 이 11년차 편집자는 과연 책에 대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편집자와 책, 그리고 인간의 삶

“오로지 인간의 삶만이 소설의 주제가 될 수 있다.”
유도라 웰티는 말했다. 소설의 주제까지는 아니어도 모든 것은 인간의 삶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인간의 모든 것은 삶에 관한 것이 아니면 안 된다.
인간의 삶이라니, 당연한 말인 것만 같고 섹시하지도 않다. 다 아는 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하나마나한 말인 것도 같다. 하지만 우리가 하는 행위는 과연 우리의 삶과 얼마나 가깝게 붙어 있을까? 친구를 만나는 일, 밥을 먹는 일, 돈을 버는 일, 영화를 보고 책을 읽는 일, 이런 것들은 정말 ‘당연히’ 우리 ‘삶’과 관계된 일일까?
-「들어가며」 중에서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이 인간의 삶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니. 당연한 말 아닌가. 친구들과 밥을 먹고 차를 마시고, 영화를 보고, 산책을 하고, 출근을 하는 일. 우리의 일상을 채우는 이 일들이 우리 삶과 과연 관련이 있는가를 묻는 저자. 만약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어떻게 우리 삶의 영역을 회복할 수 있을까를 묻는 저자. “살아가면서 잘 던지지 않는 질문들, ‘아니 뭘 그런 걸 새삼스럽게?’라고 여기는 바로 그 이야기들, 이미 사는 것도 고단한데 복잡하게 그런 고민까지 하고 살아야 하느냐 볼멘소리가 터져나올 바로 그 이야기들”을 하고 싶다는 저자. 그에게 그런 질문과 고민이 가능하게 한 건 다름 아닌 책이었다. 겨우 말들일 뿐이지만, 언어 사용자로서 그 말들은 우리를 자유롭게 하기도 한다. 소설책을 읽다가 어떤 캐릭터를 이해하게 되고 문득 자신의 친구까지 이해하게 된 경험. 세상이 갑자기 다르게 보이는 경험. 그런 독서의 경험은 사람을 끝내 바꾸어 놓는다. 그렇게 자신이 바뀌었으므로 다른 사람들 또한 바뀌지 않겠느냐 하는 마음으로 출판사에서 책을 만들게 된 저자는 결국 그 같은 마음으로 책까지 쓰게 되었다. 하루의 소소함들이 만들어갈 우리의 인생, 조그만 습관과 마음들이 조각해갈 우리 자신이 조금은 아름다워지도록.

“나를 바꾸었으니 남도 바꾸겠지, 하는 생각이 있었다. 실제로 화분 기르기를 성공한 적은 없지만, 좋은 책을 읽으면서 나의 정신을 확장하는 일은 마치 나라는 꽃에 물을 주고 예쁘게 길러내는 일과도 같았다. 나는 책을 통해서 모르는 것을 알게 되고 두려움을 극복하기도 했고 친구를 이해하게 되기도 했다. 스스로를 좀 더 이해하게 되었고, 죽음을 바라볼 수도 있게 되었다. 독자로서의 나의 삶은 곧 나를 돌보는 과정이었다.” (본문 10쪽)


우리는 언제까지고 우리 삶의 학생이고 독자다

우리는 종종 사람을 책에 비유하곤 한다. 읽기 어려운 외국어로 쓰여진 책 같은 사람, 단순하기 이를 데 없어서 4컷 만화책 같은 사람, 늘 펼쳐져 있는 책 같은 사람…. 책을 읽듯 사람을 읽는다면 우리는 일상에서 늘 독자가 된다. 상대를 이해하고, 상대를 통해 나를 이해하기 위해 미세한 공기와 뉘앙스를 읽는다. 우리가 책을 통해 배운 행간읽기와 추측, 분위기묘사 등을 우리의 생활로 가져온다. 그럴 때 우리 삶은 깨달음과 배움으로 차오른다.

“좋게 달라지는 거라고 확신할 순 없지만 여하튼 나는 달라졌고, 달라지고 있고, 그것은 ‘의식’하고 배움으로써 가능했다. 그리고 그 배움은, 공부는 학교 안이나 교과서 속에 있기보다는 그 밖에 있었다. 친구와 수다를 떨고, 좋은 영화나 책을 보고, 일을 하고, 쇼핑을 하고, 산책을 하는 속에서 우리는 배운다. 배움이 일어났다는 사실조차 모르지만 우리는 배우고 있다. 참는 법, 이해하는 법, 공감하는 법, 감동하는 법, 표현하는 법, 대화하는 법 등을 하나하나 서툴게 익혀가고 있는 우리는 우리 자신의 삶에서 언제까지고 학생이다.”(본문 23쪽)

자신의 삶, 자신에게 가능한 세계를 스스로가 직조하고 확장시켜 나가는 일, 우리가 우리 삶의 학생인 한 이것은 가능하다. 우리 삶의 학생이자 영원한 독자로서 우리는 언제까지고 자기 삶의 커리큘럼을 새로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세계’라니, ‘확장’이라니… 다소 허무맹랑하게도 들린다. 하지만 이것은 자신의 일과 삶과 관계를 어떻게 완전히 다른 것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앞서 유도라 웰티의 말을 빌려와 말한 것처럼, 모든 것이 인간의 삶에 대한 것이어야 하고, 저자는 당신의 삶, 그러니까 당신의 하루를 함께 고민하는 사람이다. 이렇게 『디어 리더』는 어느 이타주의자 편집자가 독자들에게 보내는 편지가 된다. 그 편지는 받고자 하면 받을 수 있다. 책뿐 아니라 세상을 읽기를 원하는 독자라면. 더불어 자신까지도 읽고 또 이해하고 싶은 독자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