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소개
과학적 진리는 많은 것들을 발견해 냈지만, 우리에게는 우리 자신의 내면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의식의 전환>을 통해서만 발견해 낼 수 있는 또 다른 중요한 진리가 아직 남아 있을 수 있다. 역설적이게도, 의식의 관심을 자신의 내면 속으로 되돌리는 것이 우리 자신의 밖에 있는 저 광대한 외부세계에 대한 진리를 알아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일상적 의식이 은폐하고 있는 우리의 <심층의식> 속에는, 세계의 깊은 비밀을 인식할 수 있는 초(超)의식의 상태로 우리를 고양시켜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숨어 있을 수 있다.
베르그송과 들뢰즈의 철학에서는 우리의 무의식에 대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는 전혀 다른 이해가 펼쳐진다. 이 새로운 이해에서 우리의 심층 의식을 이루고 있는 우리의 무의식은 의식의 정상적인 기능이 퇴화된 <의식의 결여나 부재>로서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의식이 아는 것과는 전혀 다른 풍부하고 생생한 서사를 이 세계에 대한 진실로서 우리에게 들려 줄 수 있는 신비스러운 정체성을 가진 것으로 재발견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무의식에 대한 이 새로운 이해는, 생명과 자연 전체에 대해 현대과학이 제시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이해를 우리에게 제시해 줄 수 있는 것으로 자신을 발전시켜 나가게 된다. 즉 우리는 우리 자신의 내면 속에 들어와 있는 <내적 자연(무의식)>에 대한 이 새로운 이해를 통해, 우리 자신의 밖에 있는 저 거대한 <대자연(大自然)>에 대해서도 새로운 이해를 발견할 수 있는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커리큘럼
1강) 자연 탐구에 있어서 역학(易學: 운동학)의 근본성
2강) 사상사의 가장 중요한 전환 : 근대 역학 혁명 - 오늘날의 표준적인 세계관은 어떤 과정을 통해 자리 잡게 되었는가?
3강) <의식의 전환> 그리고 <변성(變性) 의식상태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의 수수께끼
4강) 우리 자신의 내면 속에는 과연 무엇이 들어 있는가? - 심층의식(무의식)에 대한 베르그송의 탐구
5강) 신비주의의 정체와 가능성
6강) 생명과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이해
7강) 들뢰즈와 라이프니츠의 미분(微分)적 무의식 개념
8강) 베르그송의 신비주의자와 들뢰즈의 마법사
▶참고사항
1. 강의는 기본적으로 PPT 자료를 통해 진행됩니다.
2. 다음의 책을 함께 읽으시면 도움이 됩니다.
베르그손 지음, 최화 옮김, 『창조적 진화』, 자유문고
베르그손 지음,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들뢰즈 지음, 『매저키즘』
『질 들뢰즈의 철학』 다니엘 W, 스미스 지음, 박인성 옮김, 그린비
조현수 지음, 『성, 생명, 우주: 마조히즘에 대한 들뢰즈의 이해로부터 탄트리즘(밀교)의 재발견으로』
▶강사소개 : 조현수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사 석사.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철학박사. 능인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교수 역임. 서울대, 연세대, 성공회대 등의 여러 대학에서 시간 강사 역임
저서로 『성, 생명, 우주: 마조히즘에 대한 들뢰즈의 이해로부터 탄트리즘(밀교)의 재발견으로』, 『들뢰즈의 <마조히즘> 읽기』가 있으며, 공저로 『프랑스철학과 정신분석』,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 『로컬리티의 인문학』이 있다. 역서로는 『우연과 필연』(자크 모노 저)이 있으며, 베르그송과 들뢰즈의 철학에 대한 다수의 연구 논문이 있다.
▶강의소개
과학적 진리는 많은 것들을 발견해 냈지만, 우리에게는 우리 자신의 내면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의식의 전환>을 통해서만 발견해 낼 수 있는 또 다른 중요한 진리가 아직 남아 있을 수 있다. 역설적이게도, 의식의 관심을 자신의 내면 속으로 되돌리는 것이 우리 자신의 밖에 있는 저 광대한 외부세계에 대한 진리를 알아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일상적 의식이 은폐하고 있는 우리의 <심층의식> 속에는, 세계의 깊은 비밀을 인식할 수 있는 초(超)의식의 상태로 우리를 고양시켜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숨어 있을 수 있다.
베르그송과 들뢰즈의 철학에서는 우리의 무의식에 대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는 전혀 다른 이해가 펼쳐진다. 이 새로운 이해에서 우리의 심층 의식을 이루고 있는 우리의 무의식은 의식의 정상적인 기능이 퇴화된 <의식의 결여나 부재>로서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의식이 아는 것과는 전혀 다른 풍부하고 생생한 서사를 이 세계에 대한 진실로서 우리에게 들려 줄 수 있는 신비스러운 정체성을 가진 것으로 재발견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무의식에 대한 이 새로운 이해는, 생명과 자연 전체에 대해 현대과학이 제시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이해를 우리에게 제시해 줄 수 있는 것으로 자신을 발전시켜 나가게 된다. 즉 우리는 우리 자신의 내면 속에 들어와 있는 <내적 자연(무의식)>에 대한 이 새로운 이해를 통해, 우리 자신의 밖에 있는 저 거대한 <대자연(大自然)>에 대해서도 새로운 이해를 발견할 수 있는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커리큘럼
1강) 자연 탐구에 있어서 역학(易學: 운동학)의 근본성
2강) 사상사의 가장 중요한 전환 : 근대 역학 혁명 - 오늘날의 표준적인 세계관은 어떤 과정을 통해 자리 잡게 되었는가?
3강) <의식의 전환> 그리고 <변성(變性) 의식상태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의 수수께끼
4강) 우리 자신의 내면 속에는 과연 무엇이 들어 있는가? - 심층의식(무의식)에 대한 베르그송의 탐구
5강) 신비주의의 정체와 가능성
6강) 생명과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이해
7강) 들뢰즈와 라이프니츠의 미분(微分)적 무의식 개념
8강) 베르그송의 신비주의자와 들뢰즈의 마법사
▶참고사항
1. 강의는 기본적으로 PPT 자료를 통해 진행됩니다.
2. 다음의 책을 함께 읽으시면 도움이 됩니다.
베르그손 지음, 최화 옮김, 『창조적 진화』, 자유문고
베르그손 지음,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들뢰즈 지음, 『매저키즘』
『질 들뢰즈의 철학』 다니엘 W, 스미스 지음, 박인성 옮김, 그린비
조현수 지음, 『성, 생명, 우주: 마조히즘에 대한 들뢰즈의 이해로부터 탄트리즘(밀교)의 재발견으로』
▶강사소개 : 조현수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사 석사.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철학박사. 능인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교수 역임. 서울대, 연세대, 성공회대 등의 여러 대학에서 시간 강사 역임
저서로 『성, 생명, 우주: 마조히즘에 대한 들뢰즈의 이해로부터 탄트리즘(밀교)의 재발견으로』, 『들뢰즈의 <마조히즘> 읽기』가 있으며, 공저로 『프랑스철학과 정신분석』,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 『로컬리티의 인문학』이 있다. 역서로는 『우연과 필연』(자크 모노 저)이 있으며, 베르그송과 들뢰즈의 철학에 대한 다수의 연구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