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 알튀세르의 고전 『마르크스를 위하여』 함께 읽기
▶강의소개
이번 강의는 알튀세르의 철학에 대해 전혀 모르는 초심자를 위해 (하지만 그에 어느 정도 친숙한 교양대중 또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식으로) ⟪마르크스를 위하여⟫를 중심으로 알튀세르의 철학을 정리하고 요약해 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미 알튀세르 연구자 서관모의 탁월한 번역으로 2017년 ⟪마르크스를 위하여⟫가 출간되었으나, 그 난해함으로 인해 교양대중이 이 책을 스스로 읽는 것은 전혀 쉽지 않으며, 이러한 이유로 이 책은 출간 이후에도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해 이번 강의는 초심자가 ⟪마르크스를 위하여⟫를 스스로 읽을 수 있게 그 핵심을 해설하고, 이와 동시에 알튀세르의 철학 또한 스스로 공부할 수 있게 그 기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미 강사는 ⟪금붕어의 철학: 알튀세르, 푸코, 버틀러와 함께 어항에서 빠져나오기⟫의 세 번째 강의인 ‘루이 알튀세르의 포스트-구조주의’에서 알튀세르의 사상적 궤적 전반을 평이한 방식으로 제시한 바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마르크스를 위하여⟫를 스스로 읽기에는 충분하지 않으며 또한 알튀세르의 철학 전체에 입문하기 위해서도 조금 더 심화된 지식을 지니고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이번 강의는 ⟪금붕어의 철학⟫을 중심으로 알튀세르 사상 전반에 관한 이해를 강의 초반에 확립하고, 강사가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전체 구조와 내용을 해부하기 위해 최근 집필한 미출간 논문인 〈루이 알튀세르의 저서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체계와 구조 그리고 논리: 헤겔 변증법 탈구축과 마르크스 변증법 재구축에서 이데올로기 일반론 구축으로〉와 함께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핵심을 살펴보면서 알튀세르의 철학에 대한 기초를 다진다.
강의 중간에 적절한 방식으로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핵심 구절들을 함께 읽는 시간을 가지기도 하겠지만, 수강생은 주되게는 강사의 핵심 요약과 정리로 구성된 해설을 통해 ⟪마르크스를 위하여⟫와 이를 중심으로 짜여진 알튀세르의 철학 전체의 기초를 배울 것이다. 0번째 강의인 무료 특강에서는 강사의 주관적 관점에서 왜 오늘날 지금 여기에서 알튀세르를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 평이한 수준에서 강의한다. 그러니까 수강생은 0번째 강의에서 알튀세르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찾은 뒤, 첫 번째 강의에서 알튀세르 철학 전반의 흐름을 공부하고, 두 번째 강의에서부터 일곱 번째 강의에 이르기까지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각 장을 중심으로 알튀세르 철학의 기초를 배운다.
▶커리큘럼
0번째 강의(무료 특강): 왜 오늘날 지금 여기에서 알튀세르를 읽어야 하는가?(주관적 답변)
0번째 강의 다시보기 링크 클릭 (유튜브로 연결됩니다)
첫 번째 강의: 알튀세르의 철학적 궤적 일반을 공부하기(에티엔 발리바르의 ‘1996년판 서문’과 서관모의 ‘옮긴이 해제’, 그리고 ⟪금붕어의 철학⟫ 중 세 번째 강의를 중심으로)
두 번째 강의: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서문 ‘오늘’과 4장 ‘피콜로 극단: 베르톨라치와 브레히트(유물론적 연극에 대한 노트)’에 대한 해설
세 번째 강의: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7장 ‘마르크스주의와 인간주의’와 ‘“현실적 인간주의”에 대한 보충 노트’ 그리고 ‘외국어판 독자들에게’에 대한 해설
네 번째 강의: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3장 ‘모순과 과잉결정(탐구를 위한 노트)’에 대한 해설
다섯 번째 강의: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6장 ‘유물론적 변증법에 대하여(기원들의 불균등성에 관하여)’에 대한 해설
여섯 번째 강의: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2장 ‘청년 마르크스에 대하여(이론의 문제들)’를 중심으로 1장 ‘포이어바흐의 “철학적 선언들”’과 5장 ‘칼 마르크스의 “1844년 수고”(정치경제학과 철학)’ 해설
일곱 번째 강의: 시간 관계상 다루지 못했던 지점들에 대한 보충설명(특히 ⟪“자본”을 읽자⟫와 ⟪마르크스를 위하여⟫ 간 관계를 중심으로)
▶강의교재
⟪마르크스를 위하여⟫(루이 알튀세르 지음, 에티엔 발리바르 서문, 서관모 옮김, 후마니타스, 2017),
⟪금붕어의 철학: 알튀세르, 푸코, 버틀러와 함께 어항에서 빠져나오기⟫(배세진 지음, 출판공동체 편않, 2025, 근간) 중 세 번째 강의인 ‘루이 알튀세르의 포스트-구조주의’
〈루이 알튀세르의 저서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체계와 구조 그리고 논리: 헤겔 변증법 탈구축과 마르크스 변증법 재구축에서 이데올로기 일반론 구축으로〉
(배세진 지음, 미출간 논문, 수강생 모두에게 PDF로 제공)
▶강사소개 : 배세진(정치철학 박사, 알튀세르 연구자)
프랑스의 포스트구조주의를 중심으로 미국과 독일 등을 포함하는 여러 국가의 비판이론을 전공한 정치철학자.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미디어문화연구 전공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프랑스 파리시테대학교에서 정치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연구소 연구원이자 미디어문화연구 전공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미셸 푸코』 『역사에 관한 글들』 『자본을 읽자』 『사회학자와 역사학자』 『가부장 자본주의』 등이 있고 『사상의 좌반구』의 해제를 썼다.
루이 알튀세르의 고전 『마르크스를 위하여』 함께 읽기
▶강의소개
이번 강의는 알튀세르의 철학에 대해 전혀 모르는 초심자를 위해 (하지만 그에 어느 정도 친숙한 교양대중 또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식으로) ⟪마르크스를 위하여⟫를 중심으로 알튀세르의 철학을 정리하고 요약해 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미 알튀세르 연구자 서관모의 탁월한 번역으로 2017년 ⟪마르크스를 위하여⟫가 출간되었으나, 그 난해함으로 인해 교양대중이 이 책을 스스로 읽는 것은 전혀 쉽지 않으며, 이러한 이유로 이 책은 출간 이후에도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해 이번 강의는 초심자가 ⟪마르크스를 위하여⟫를 스스로 읽을 수 있게 그 핵심을 해설하고, 이와 동시에 알튀세르의 철학 또한 스스로 공부할 수 있게 그 기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미 강사는 ⟪금붕어의 철학: 알튀세르, 푸코, 버틀러와 함께 어항에서 빠져나오기⟫의 세 번째 강의인 ‘루이 알튀세르의 포스트-구조주의’에서 알튀세르의 사상적 궤적 전반을 평이한 방식으로 제시한 바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마르크스를 위하여⟫를 스스로 읽기에는 충분하지 않으며 또한 알튀세르의 철학 전체에 입문하기 위해서도 조금 더 심화된 지식을 지니고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이번 강의는 ⟪금붕어의 철학⟫을 중심으로 알튀세르 사상 전반에 관한 이해를 강의 초반에 확립하고, 강사가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전체 구조와 내용을 해부하기 위해 최근 집필한 미출간 논문인 〈루이 알튀세르의 저서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체계와 구조 그리고 논리: 헤겔 변증법 탈구축과 마르크스 변증법 재구축에서 이데올로기 일반론 구축으로〉와 함께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핵심을 살펴보면서 알튀세르의 철학에 대한 기초를 다진다.
강의 중간에 적절한 방식으로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핵심 구절들을 함께 읽는 시간을 가지기도 하겠지만, 수강생은 주되게는 강사의 핵심 요약과 정리로 구성된 해설을 통해 ⟪마르크스를 위하여⟫와 이를 중심으로 짜여진 알튀세르의 철학 전체의 기초를 배울 것이다. 0번째 강의인 무료 특강에서는 강사의 주관적 관점에서 왜 오늘날 지금 여기에서 알튀세르를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 평이한 수준에서 강의한다. 그러니까 수강생은 0번째 강의에서 알튀세르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찾은 뒤, 첫 번째 강의에서 알튀세르 철학 전반의 흐름을 공부하고, 두 번째 강의에서부터 일곱 번째 강의에 이르기까지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각 장을 중심으로 알튀세르 철학의 기초를 배운다.
▶커리큘럼
0번째 강의(무료 특강): 왜 오늘날 지금 여기에서 알튀세르를 읽어야 하는가?(주관적 답변)
0번째 강의 다시보기 링크 클릭 (유튜브로 연결됩니다)
첫 번째 강의: 알튀세르의 철학적 궤적 일반을 공부하기(에티엔 발리바르의 ‘1996년판 서문’과 서관모의 ‘옮긴이 해제’, 그리고 ⟪금붕어의 철학⟫ 중 세 번째 강의를 중심으로)
두 번째 강의: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서문 ‘오늘’과 4장 ‘피콜로 극단: 베르톨라치와 브레히트(유물론적 연극에 대한 노트)’에 대한 해설
세 번째 강의: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7장 ‘마르크스주의와 인간주의’와 ‘“현실적 인간주의”에 대한 보충 노트’ 그리고 ‘외국어판 독자들에게’에 대한 해설
네 번째 강의: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3장 ‘모순과 과잉결정(탐구를 위한 노트)’에 대한 해설
다섯 번째 강의: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6장 ‘유물론적 변증법에 대하여(기원들의 불균등성에 관하여)’에 대한 해설
여섯 번째 강의: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2장 ‘청년 마르크스에 대하여(이론의 문제들)’를 중심으로 1장 ‘포이어바흐의 “철학적 선언들”’과 5장 ‘칼 마르크스의 “1844년 수고”(정치경제학과 철학)’ 해설
일곱 번째 강의: 시간 관계상 다루지 못했던 지점들에 대한 보충설명(특히 ⟪“자본”을 읽자⟫와 ⟪마르크스를 위하여⟫ 간 관계를 중심으로)
▶강의교재
⟪마르크스를 위하여⟫(루이 알튀세르 지음, 에티엔 발리바르 서문, 서관모 옮김, 후마니타스, 2017),
⟪금붕어의 철학: 알튀세르, 푸코, 버틀러와 함께 어항에서 빠져나오기⟫(배세진 지음, 출판공동체 편않, 2025, 근간) 중 세 번째 강의인 ‘루이 알튀세르의 포스트-구조주의’
〈루이 알튀세르의 저서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체계와 구조 그리고 논리: 헤겔 변증법 탈구축과 마르크스 변증법 재구축에서 이데올로기 일반론 구축으로〉
(배세진 지음, 미출간 논문, 수강생 모두에게 PDF로 제공)
▶강사소개 : 배세진(정치철학 박사, 알튀세르 연구자)
프랑스의 포스트구조주의를 중심으로 미국과 독일 등을 포함하는 여러 국가의 비판이론을 전공한 정치철학자.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미디어문화연구 전공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프랑스 파리시테대학교에서 정치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연구소 연구원이자 미디어문화연구 전공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미셸 푸코』 『역사에 관한 글들』 『자본을 읽자』 『사회학자와 역사학자』 『가부장 자본주의』 등이 있고 『사상의 좌반구』의 해제를 썼다.